본문 바로가기

Linux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Ubuntu 설정

반응형

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Windows Subsystem for Linux) 

윈도우 10에서 네이티브로 리눅스 실행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호환성 계층

 

VirtualBox VM으로 ubuntu 설치 후 여러가지 간단한 실습을 해보려는 찰나에, 세상에! 이미 사용중인 윈도우10에 우분투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가능하다는 얘길듣고 바로 조사해보았다.

 

WSL64비트 윈도우 10 환경에서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리눅스 호환 커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그 위에 리눅스 유저랜드(우분투, SUSE, 페도라 등)를 실행시킬 수 있다.

 

 

다만, 리눅스 커널 코드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Linux kernel system call 이 다 호환되지 않아서 일부 app(nmap 등) 들은 실행되지 않는 등의 단점이 있다고 합니다.

 

이를 개선한 WSL2 는 기존 WSL 의 아키텍처를 대폭 수정하여 File IO 성능 향상, 빠른 부팅 속도, Kernel System Call 호환성 개선등 기존 사용자의 주요 요구 사항을 반영하였으나, Windows Insider Program에 가입해서 강제로 beta버전의 빌드를 써야하므로 윈도우즈 자체가 매우 심각하게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기본 WSL 로 설정해서 사용해보겠다.

설정은 간단하다.

WSL 시스템 요구사항

  • OS : Windows 10 버전 1607이상
  • 아키텍처 : x64
  • 계정 : 이메일 계정으로 PC로그인 (로컬사용자 제외 - MS스토어 사용을 위해)

1. WSL 설치

  • Windows PowerShell 로 설정
    1.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어 실행
      Power shell>
      Enable-WindowsOptionalFeature -Online -FeatureName 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2.  메시지가 표시되면 컴퓨터 재 시작

  •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설정

    제어판 >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에서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기능을 선택 후 확인을 누르면 시스템 재부팅이 이루어진다.

      재부팅이 완료되면 별다른 알림없이 설정이 완료된다.

 

 

2. 리눅스 배포판 설치

Micorosoft Store에서 설치할 Linux 배포판을 선택한다.

검색창에 linux 를 검색하면 설치가능한 linux 각 리눅스 배포판들이 나온다

 

ubuntu 를 선택하여 설치 후 바로 실행이 가능해졌다.

실행해보자.

유저정보 설정만 해주면 bash 셸이 바로 등장한다.

와웅

 

windows directory 를 확인하려면 다른 마운트 경로에서 확인하면 된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JVM 시간 불일치  (0) 2020.02.05